[뉴스토마토 전보규 기자] 한국과 미국, 일본 가운데 우리나라의 주요 부품소재 수입 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발생 이후 의존도가 심화했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0년 기준 부품·소재 중국 의존도가 한국 29.3%, 일본 28.9%, 미국 12.9%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전체 품목 의존도는 일본 26%, 한국 23.3%, 미국 18.6%다. 중간재는 2019년 기준으로 한국 27.3%, 일본 19.8%, 미국 8.1%다. 한국과 일본의 중간재, 부품소재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한-중-일 3개국이 중간재 교역을 매개로 경제블록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출처/전경련
미·중 무역분쟁 발생 직전인 2017년과 비교하면 전체 품목의 2021년 중국 수입의존도는 한국이 3.8%포인트, 일본은 0.1%포인트 높아졌고 미국은 4.2%포인트 낮아졌다.
중간재는 한국이 0.7%p 상승한 반면 일본과 미국은 각각 0.2%p, 1.9%p 하락했다. 부품소재는 한국과 일본이 0.1%p, 0.9%p 높아졌고 미국은 5.7%p 낮아졌다.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직후 공급망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대용량 배터리 △반도체 △핵심 금속·소재(희토류) △의약품·의약원료품 등 4대 품목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는 한국이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에 대한 한국의 수입의존도는 39.5%로 일본과 미국에 비해 2배, 6배가량 높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중국 현지공장 반도체 물량 상당수를 전공정(웨이퍼 가공) 단계까지 생산한 뒤 한국으로 수입해 후공정(웨이퍼 절단·포장)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배터리 중국 의존도는 93.3%로 일본, 미국보다 1.4배, 2.2배 높았다. 국내 업체가 중국 공장 생산분을 수입한 결과로 해석된다.
항생물질 중국 의존도는 한국 52.7%, 일본 34.2%, 미국 31.2%였고 희토류는 한국 52.4%, 미국 42.9%, 일본 41.1로 나타났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글로벌 공급망 이슈는 경제안보 의제와 결합해 다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미국, EU 등 주요국은 핵심품목에 대한 자국 내 생산시설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주요 품목에 대한 중국 등 특정국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미국의 중간선거와 중국의 공산당대회를 앞두고 미·중갈등이 심화할 가능성이 높아 이로 인한 한국 기업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민간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전보규 기자 jbk880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