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1박 2일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는 기회주의적이지 않다"며 양국 간 결속 관계를 과시했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 폭탄'이 발표된 직후 성사된 중·러 정상회담인 만큼 미국의 제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하며 이른바 '반서방연대'를 가속화했는데요.
하지만 중국이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서방과의 관계를 끊을 수 없는 만큼 '공동 전선에 있지만 어젠다(의제)가 다르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중·러가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만 경제 성장을 위한 셈법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 회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푸틴·시진핑 '결속' 과시…반서방 '공조'
16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타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러시아와 중국 간 관계가 기회주의적이지 않고 누구에게도 불리하지 않다는 게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며 "오늘날 우리의 협력은 국제 무대에서 주요 안정화 요소 중 하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특히 "러시아와 중국은 G20(주요 20개국)뿐만 아니라 유엔, 브릭스(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상하이협력기구에서도 성공적으로 교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시 주석 역시 "중·러 관계는 4분의 3세기를 지나면서 폭풍우를 겪었고 시간이 갈수록 더 단단해졌다"면서 "요 몇 해 동안 나와 대통령 선생은 40여차례 만나면서 긴밀한 소통을 유지했고, 중·러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순조로운 발전을 위해 전략적 지도를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여정에서 중국은 언제나 러시아와 함께 서로 신뢰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동반자가 될 용의가 있다"며 "(러시아와) 손잡고 세계의 공평·정의를 지킬 용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두 정상이 중·러 관계에 대한 결속을 명시적으로 강조한 셈인데요. 푸틴 대통령은 중국과의 '경제 협력' 부분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그는 "러시아와 중국은 진정으로 실질적인 협력을 견고히 축적해 왔다"면서 "작년 한 해 양국 무역액이 거의 25% 증가해 2270억달러(약 305조7000억원)에 이르렀다"고 했습니다.
이날 양국은 미국의 제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4일 조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은 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행위를 하고 있다"며 반도체·전기차 등 핵심 산업 관련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급격한 관세 인상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성을 잃었다"고 맹공하며 맞대응을 예고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중, 추가 제재 가능성에 '머뭇'
그런데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을 위해 중국의 협력이 절실한 러시아와 경제 회복을 위해 서방과의 관계를 끊을 수 없는 중국 간에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날 미국 <뉴욕타임스>는 "공동 전선에 있으나, 어젠다는 다르다"며 중국이 러시아에 대한 지지 때문에 서방과 소원해지는 것도 원치 않는다고 분석했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중국의 군사용 부품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데, 중국 입장에서는 러시아와의 연대를 유지하면서도 서방 관계를 원만하게 관리하는 것이 과제라는 겁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이번 회담에서 가장 예민한 문제는 중국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살상 무기를 지원하느냐인데,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만큼의 군사·안보 협력을 하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 전용이 가능한 부품과 기술을 수출한다면 추가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이 '대중 압박' 기조를 지속한다면 중러 사이의 협력 수준이 올라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임 교수는 "바이든이든 트럼프든 모두가 중국의 힘을 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누가 당선되든 이 방향이 지속된다면 중국 입장에서는 '러시아'라는 카드를 활용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대중 압박에 맞서 격상된 군사·안보 분야 협력을 과시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