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 공개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시도 및 지역 교육청별로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울은 강남의 성적이 다른 곳에 비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지역 내에서도 학교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장과 교사의 열의, 학교의 학습환경 등이 아이들의 성취도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 학교급 높아질수록 기초학력 미달 비율 증가
이번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공개로 우리나라 초ㆍ중ㆍ고교생 가운데 기초 학력 수준에 못 미치는 학생 수가 어느 정도인지 처음으로 정확하게 드러났다.
기초학력 미달이란 해당 학년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최소한의 목표 수준에 이르지 못해 별도의 보정 교육 없이는 다음 학년의 교수, 학습 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
초등 6학년의 경우 전체 65만명 가운데 2.4%인 1만5천명, 중3은 66만명 가운데 10.4%인 6만9천명, 고1은 65만명 가운데 9.0%인 4만4천명이 기초학력 미달학생인 것으로 집계됐다.
초6은 기초 미달학생 비율이 2%대로 그리 많지 않지만 중3, 고1은 대략 10명 중 1명꼴로 기초학력에 미치지 못한다는 얘기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을 제외한 4학년부터 국민공통 교육과정이 마지막으로 적용되는 고교 1학년까지 총 450만명의 학생 가운데 기초학력 미달자는 6.6%인 약 30만명이 될 것으로 교과부는 추정했다.
학업성취도 현황은 초ㆍ중ㆍ고교를 막론하고 교과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별로 보면 초→중→고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보통학력 이상 비중이 감소하고 기초 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 학력신장 서울 `바닥권' 불명예
시.도별로는 서울과 경남의 성적이 좋지 않았고 부산과 제주의 실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성적이 대부분의 과목에서 바닥권을 나타내 그간 강조해온 `학력신장' 구호를 무색케 했다.
초6 성적의 경우 기초미달 학생 비율이 영어 과목에서는 충북.충남.경남이 3.9%로 가장 높았고, 수학은 경남, 국어는 충북.경남, 사회는 서울, 과학은 서울.경남이 각각 1위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반면 부산은 영어, 수학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보여 영어는 미달학생 비율이 1.4%로 가장 낮았고 보통 이상은 86.5%로 가장 높았다. 수학도 보통이상은 88.4%로 1위였고 학력미달은 1.1%로 강원과 함께 가장 낮아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국어는 충북.경남(이상 2.9%)에 이어 서울.경기(2.8%)의 기초미달 학생이 많았고 사회(3.1%), 과학(2.7%)은 서울의 성적이 가장 나쁜 것으로 분석됐다.
중3 학생은 영어는 전북(9.1%)이 기초미달이 가장 많았으며 서울(7.9%)도 세 번째로 많았고 울산(3.7%)이 가장 적었으며 수학은 기초미달의 경우 전남(14.7%)이 가장 많았다.
나머지 과목은 국어 11.2%, 사회 15.5%, 과학 15.2% 등으로 서울이 모두 1위를 차지해 `학력신장' 구호를 무색게 했다.
고1 성적은 영어는 기초미달의 경우 충남(10.1%)이 가장 많고 경남(9.4%), 경기(7.9%) 등에 이어 서울(7.4%)이 네 번째로 많았으며 제주는 기초미달(2.4%)이 가장 적으면서 보통이상(80.0%)이 가장 많아 눈에 띄었다.
나머지 과목의 기초미달 학생은 수학은 충남(11.7%), 국어는 경남(8.3%), 사회 충남(18.7%), 과학은 서울(18.1%)이 각각 가장 많았다.
◇ `강남.임실' 최고 `곡성' 바닥
전국 180개 지역교육청 비교에서는 서울 강남과 전북 임실의 성적이 두드러진 반면 전남 곡성과 전북 무주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초6 학생의 경우 영어 성적에서 기초미달은 전북 임실(0.0%)이 가장 적고 전남 구례(0.6%), 서울 강남(0.8%), 강원 정선(1.0%), 경기 성남(1.1%) 등의 순으로 적었으며 전남 곡성이 8.5%로 가장 많아 성적이 가장 좋지 않았다.
전남 곡성은 보통이상도 50.0%로 가장 적었으며 1위인 강남(95.1%)과는 무려 45% 이상 격차를 보였다.
수학도 서울 강남은 보통이상이 93.6%로 가장 많았고 전남 곡성(58.1%)은 영어에 이어 수학에서도 최하위 성적을 기록했다.
전남 곡성은 국어도 보통이상(60.9%)이 가장 적었으며 사회, 과학 과목은 전북 임실의 경우 기초미달이 0%인 데 비해 전남 곡성은 사회 과목에서 6.5%로 1위였다.
중3 성적도 크게 다르지 않아 서울 강남은 영어에서 보통이상이 84.6%로 2위인 대구 동부(76.8%)와도 큰 격차를 나타냈으며 전북 무주(34.4%)가 꼴찌를 차지했다.
수학은 서울 강남(73.7%)이 1위였고 꼴찌는 전남 신안(27.2%)이 차지했으며, 기초미달도 서울 강남(6.8%)이 가장 적고 전북 장수(28.9%)가 가장 많았다.
서울 강남은 국어도 보통이상(77.3%)이 가장 많고 전북 무주(37.8%)가 가장 적었으며 전북 무주는 기초미달(26.9%)도 역시 가장 많았다.
사회는 보통이상은 강원 영월(74.9%)이 1위, 전북 장수(35.1%)가 꼴찌였고 과학은 보통이상은 강원 화천(68.4%)이 가장 많고 전북 장수(32.5%)가 역시 가장 적었다.
◇ 강남.북 격차 뚜렷...강남 `월등'
서울의 경우 교육특구 `트라이앵글'로 꼽히는 강남(강남.서초구).강서(양천.강서구).북부(노원.도봉구)의 성적이 좋고 강남.북의 격차도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의 성적이 강서.북부와 비교해서도 월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은 초6, 중3 성적에 있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5과목 모두에서 보통이상 학생이 가장 많고 기초미달은 가장 적었다.
초6 학생의 경우 강남은 영어 과목에서 보통이상이 95.1%로 1위였고 강서(87.4%), 북부(87.1%)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동부(77.0%)는 강남과 20% 이상 격차를 보이며 꼴찌를 기록했다.
반면 강남의 기초학력 미달은 0.8%로 동부(4.6%)의 6분의 1 수준이었다.
강남은 수학도 보통이상은 93.6%로 가장 많고 기초미달은 0.7%로 가장 적었으며 동부는 보통이상이 78.9%로 가장 적고 서부는 기초미달이 3.0%로 가장 많았다.
강남은 보통이상 학생이 국어는 90.8%, 사회는 81.3%, 과학은 90.7%로 수위를 차지했다.
중3 학생도 강남은 영어의 경우 보통이상이 84.6%로 수위를 차지했고 2위인 북부(70.2%)와도 14% 넘게 차이를 보였으며 꼴찌인 강북지역의 성북(53.5%)과는 30%포인트 넘게 차이가 나타났다.
기초미달은 강남은 3.6%에 그쳤지만 남부는 11.2%에 달했다.
수학은 강남(73.7%) 외에는 보통이상 학생 비율이 60%를 넘는 곳이 없었고 기초미달도 강남이 6.8%에 불과한 반면 남부는 20.3%를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국어도 보통이상은 강남(77.3%), 북부(63.3%), 강동(62.5%) 순이었고 남부(50.2%)는 가장 적었으며 기초미달은 반대로 강남(5.6%)이 가장 적고 남부(17.7%)가 가장 많았다.
사회와 과학도 보통이상은 강남이 가장 많고 기초미달은 남부가 사회 21.7%, 과학 21.0%로 가장 많았다.
◇교장 리더십-교사 열정이 학생 실력 가른다
지역 간 편차도 크게 나타났지만 같은 지역 내에서 학교별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교과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학교별로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교과부 내부 분석 자료에 의하면 학교별 편차 역시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같은 강남 교육청 관내 학교 가운데 A중학교는 국어, 수학, 영어의 기초 미달학생 비율이 각각 0.7%, 0.7%, 0.4%로 미미했지만 C중학교는 35.4%, 29.5%, 24.8%나 됐다.
강북교육청 관내에서도 D중학교는 국어, 수학, 영어의 기초 미달학생 비율이 5.0%, 5.0%, 1.7%에 불과했으나 F중학교는 32.9%, 42.5%, 19.2%에 달했다.
부산지역 역시 부산 A구의 A초등학교는 국어, 수학, 영어의 기초 미달학생 비율이 0.8%, 0.4%, 0.4%였으나 C초등학교는 각각 8.8%, 8.8%, 5.3%로 큰 차이가 났다.
이처럼 동일 지역 내에서도 학교마다 편차가 나는 이유에 대해 교과부는 학교장과 교사의 열의, 학교의 학습환경 등이 아이들의 성취도 수준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제반 여건이 유사한 지역 내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보면 교장의 리더십, 교사들의 열정 등이 학생들의 실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결국 교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