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오는 2016년 정년 60세 의무화법 시행을 앞두고 상당수 기업들이 인건비 증가를 우려하며, 인건비 부담 완화를 위한 임금피크제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최근 3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정년 60세 의무화에 따른 기업애로 및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0곳 중 7곳이 ‘정년 60세 의무화로 인한 인건비부담 완화를 위해 임금피크제가 도입돼야 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또 ‘현행 임금 체계를 조정하지 않고, 정년 60세가 의무화되면 향후 인건비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67.3%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국내기업 상당수가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 증가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임금체계 개편 없는 정년연장은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정년 60세 의무화 이전에 현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료=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종업원 100인 이상 기업의 71.9%가 호봉급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2012년 기준 100인 이상 기업의 16.3%에 그치고 있다.
대한상의는 “일반적으로 50대 이상이 되면 생산성이 임금을 밑돈다고 인식되기 때문에 명예퇴직을 권고 받는 등 중장년의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며 “직무급 등 임금과 생산성을 일치시키는 임금체계 도입이 가장 바람직하나 우선적으로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중장년층의 고용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제한을 둬 임금피크제 도입 시 근로자 과반 이상의 동의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당수 기업들은 동의를 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임금피크제 도입 시 노조나 근로자의 반응에 대해 절반에 가까운 기업이 ‘반대할 것’(43.2%)이라고 답해, 향후 임금체계 개편 시 상당수 사업장에서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임금조정 없는 정년 60세 의무화는 청년고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년 60세 의무화가 신입직원 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56.5%의 기업이 ‘신규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해, 임금체계 개편 등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청년과 중장년들의 일자리 경합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은 청년과 중장년층 일자리의 조화를 위해 ‘고령근로자 적합직무 개발’(28.4%), ‘직무급 또는 성과급으로 임금체계 변경’(25.7%),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및 직무능력 향상’(25.4%), ‘임금피크제 도입’(20.5%)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상당수의 기업들은 정년 60세 의무화 이전에 미리 정년을 연장하거나, 2016년 전 퇴직해 정년연장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른바 ‘낀 세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 60세 연장계획을 묻는 질문에 ‘이미 정년이 60세 이상’이라는 기업이 36.0%였고, ‘정년 60세 의무화법 통과 이후 새로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연장할 것'이라는 기업이 4.0%, ‘법 시행 전 60세 이상으로 늘릴 것’이란 기업이 11.2%로, 절반 이상의 기업이 의무화법 시행 전에 정년 60세 이상 규정을 도입했거나 도입할 것으로 집계됐다.
또 정년 60세 미만 기업 10곳 중 3곳은 ‘낀 세대를 계약직 등으로 이미 재고용’(3.6%)하거나, ‘낀 세대를 계약직 등으로 재고용할 계획’(16.9%), ‘낀 세대 정년을 60세로 연장할 계획’(7.7%) 등 ‘낀 세대’를 위한 대책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정년 연장은 필요한 면이 있지만 지난해 정년 60세를 의무화하면서 임금체계 개편을 연계하지 않아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증가하게 됐다”며 “정년 60세가 실질적으로 지켜지고 중장년의 고용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사가 지금부터 임금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하는 데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