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병호기자] 자칭 스마트족인 서모씨(32세). 스마트폰으로 스마트카에 시동을 걸고 집에서는 드라마를 보다가 맘에 드는 제품을 발견하면 스마트TV로 바로 주문한다. 하지만 서씨는 최근 기겁할 일을 겪었다. 보안을 이유로 집에 설치한 CCTV와 스마트폰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이 누군가에게 해킹돼 그동안 사생활을 감시당했던 것이다.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인터넷' 시대가 점차 다가오고 있지만 이 시대가 마냥 장밋빛 미래일 수만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해킹을 통한 각종 보안사고가 자칫 대형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산업연구원은 21일 발표한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서 갈수록 빈번해지는 각종 보안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융합보안 피해 유형(사진=산업연구원)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융합보안산업은 정보보안과 물리보안의 융합, 보안기술과 정보기술의 융합으로 생기는 제품과 서비스"라며 "사물인터넷이 확산돼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보안위협은 실생활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기존 사이버 공격과 해킹이 오직 사이버상의 피해로 그친 것과 달리 앞으로는 실제 물리 공간으로 피해가 확대되면서 경제적인 피해가 대폭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보고서는 국내 융합보안 피해를 국내총생산(GDP)의 1%로 추정할 때 2015년이면 피해액이 13조4000억원에 달하고, 2020년 17조7000억원까지 늘 수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국가 신용도 하락과 2차 피해 등까지 일어나면 피해규모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보고서는 또 융합보안 피해가 특정 산업 부문으로 미칠 경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황 부연구위원은 "융합보안사고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폭넓게 발생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과 수요를 떨어트릴 것"이라며 "스마트카에서 보안사고가 일어나 국산 자동차의 수요가 10% 줄면 연간 24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비롯 스마트폰 피해는 16조원, 금융산업 피해는 1조7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에 정보보안 총괄기관 설립과 관련 제도 개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우선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정보보안 관리·감독 체계가 분야별로 분산돼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사고 발생 때는 기관 간의 정책 혼선이 우려된다는 의견이다.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공공 분야의 사이버 보안은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민간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가, 국방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가 각각 임무를 분담해 통합적인 규제와 지원이 부족하다.
보고서는 아울러 선진국은 정보보호 산업 전략적·체계적으로 육성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사고 발생 후 일시적인 피해수습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황원식 부연구위원은 "보안피해는 국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커질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고피해를 종합 관리해야 한다"며 "국내 정보기술 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간 협업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