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기다려서 겨우 샀는데"…자동차 리콜 '역대급'
올해 306만대, 2017년 200만 돌파 이후 6년 만
전기차 확대 따른 자동차 전장화에 결함 잦아
2022-11-01 06:00:10 2022-11-01 06:00:10
 
 
[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올해 국내 자동차 전체 리콜 대수가 300만대를 돌파했다. 2017년 처음 200만대를 넘어선 이후 6년 만이다. 자동차 시장 중심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옮겨가고 소프트웨어 사용이 늘면서 전기장치 결함에 따른 리콜이 급증한 영향이 크다.
 
31일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개월간 국내 자동차 리콜 대수(국산차+수입차)는 306만대다. 지난해 293만대를 이미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산차는 113차종 261만대, 수입차는 1169차종 45만대다. 가장 많은 리콜을 기록한 제작사는 기아(000270)(143만대)였다. 이어 현대차(005380)(107만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14대), 르노코리아(9만대), BMW코리아(6만대) 순이었다.
 
자동차 리콜 대수는 2017년 241만대로 처음 200만대를 넘어선 후 2018년 282만대, 2019년 217대, 2020년 245만대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293만대로 300만대를 육박했다.
 
리콜 대수가 급증한 건 전기차 보급과도 관련이 있다. 과거 주요 리콜 원인이 '제동장치', '원동기'였다면 최근에는 '전기전자장치' 결함에 따른 리콜 비중이 크게 늘었다.
 
2019년 전기장치 관련 리콜 비중은 3.9%에 불과했지만 이듬해 7.6%, 그리고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지난해엔 24.9%로 급증했다. 올해도 13%(41만대)에 이른다. 리콜 발생 장치 중 냉난방 장치(79만대), 제동장치(42만대)에 이어 세 번째다.
 
기아 직원 자동차를 점검하고 있다.(사진=기아)
 
전문가들은 부품이 많은 자동차 특성상 리콜이 불가피한 데다 최근 신기술을 적용하는 전장화로 장애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통산 전기차는 생산에 사용되는 부품 수가 기존 내연기관차보다 30%가량 적다.
 
반면 부품 중 전기전자부품이 70~80%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내연기관차에 없는 리튬이온배터리와 모터 등 신규 부품이 적용되면서 관련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는 개발기간이 짧고 보급 대수도 적기 때문에 전기차의 복잡한 시스템에 대응하기에는 시간적인 부분이 부족했다"며 "앞으로 배터리 화재나 각종 시스템에 대한 유기적인 연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만큼 정부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기장치 증가에 따라 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결함이 자주 나타났다. 이에 자동차 업계에선 소프트웨어 관련 결함을 무선업데이트(OTA)를 통해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테슬라의 경우 일부 하드웨어 문제를 제외하면 테슬라는 대부분의 리콜 수리를 OTA 방식으로 대응한다. 실제 올해 자율주행프로그램 오류로 긴급제동장치가 갑자기 활성화되는 문제로 1만대 이상 리콜을 해야 했지만 OTA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 현대차도 내년부터 모든 차종에 OTA를 적용, 소프트웨어 결함을 빠르게 수정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급발진이나 화재사고 결함 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자율주행 기능의 경우 바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자동차 결함에 대한 제재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실시하며 자동차 제조사가 결함을 은폐·축소하거나 시정하지 않아 소비자가 피해를 본 경우 손해액의 최대 5배 범위에서 배상 책임을 지도록 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리콜 명령은 18개월 이내에 완료해야 하지만 강제성이 없다"며 "자발적 리콜이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