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수십억 손실"…그래도 '직진'
(자율주행차 공회전②) 탑승자 안전평가 정량화 정립 안돼
막대한 개발비 부담…테슬라·현대차도 "어렵다" 인정
미래 모빌리티 기술 핵심, 지원·규제완화 절실
2022-11-28 06:00:10 2022-11-28 06:00:10
[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자율주행차 상용화 움직임이 활발하지만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운전 중 돌발상황이 많을뿐더러 법과 제도, 기술 개발, 인프라, 인공지능(AI) 윤리, 보험, 보안, 안전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산더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는 내년 상반기 국회 경내와 방문객 전용 주차장인 둔치주차장을 잇는 3.1㎞ 구간에 대형 승합차(쏠라티 11인승)를 개조한 로보셔틀을 투입, 시범 서비스에 나선다.
 
현대차 로보셔틀이 판교 제로시티 일대를 주행하고 있다.(사진=현대차)
 
로보셔틀은 현대차가 자체 개발한 레벨4 수준의 핵심 기술 적용으로 차량이 스스로 주행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제어하는 등 일부 예외적 상황 이외에는 비상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자율주행차에 대한 장밋빛 전망과 반대로 부정적 시각이 강해지고 있다. 
 
김정윤 대구가톨릭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교수는 "탑승자의 안전을 정량화할 수 있는 평가 척도나 방법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며 "V2X(Vehicle to Everything)와 같은 자율주행 인프라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방법이나 자율주행차가 개입된 자동차 사고의 판정 및 분석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기술이 고도화되더라도 자율주행으로 인한 사고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데 공감하며 법 제도 정비와 함께 자율주행의 안전 범위와 사고시 책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본다.
 
자율주행차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완성차 업체도 큰 비용이 부담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트위터에 "자율주행이 이렇게 어려운 줄 몰랐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지난 4월 뉴욕오토쇼에서 "(자율주행차는) 법규나 규제 그리고 워낙 변수가 많아 시간이 좀 걸릴 것으로 본다"며 "도심항공모빌리티(UAM)가 나오게 되면 하늘에 있는 길은 돌발 변수가 적기 때문에 차보다 더 안정적이고 빨리 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상용화가 늦어지며 글로벌 자율주행 기업들의 가치도 흔들리고 있다. 포드는 올해 3분기 실적에 자율주행 업체 아르고AI가 개발하는 자율주행 시스템 투자 손실 27억달러(3조8200억원)를 반영했다.
 
포드와 폭스바겐의 투자를 받던 아르고AI는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을 중단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는 올해 상반기 8억6800만달러(약 1조2000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자율주행이 수익성을 담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개발비, 인프라 구축 등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이를 자동차 값에 반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 미국에서 자율주행차가 성공한다고 해도 바로 다른 나라에서 적용할 수 없다. 각 나라별 교통체계, 상황들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완성차업체들이 자율주행에 매달리는 이유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크루즈 또한 적자가 매일 69억원인 상황임에도 투자를 계속하는 이유는 그만큼 잠재력 있는 시장이기 때문"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 상무는 "AI로 무장한 선도업체들의 빠른 변화에 점점 전통 자동차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자율주행으로의 변화가 미래 자동차의 승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레벨4 상용화 시점까지 자율주행차 업체가 생존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고 호소한다.
 
자율주행 전문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유민상 상무는 "2025년에 레벨4 자율차의 법규가 제정된다 하더라도 인증을 받고 판매를 개시해 기업의 수익이 발생하는 시점은 2027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며 "업체 입장에서는 5년 이상을 수익 없이 견뎌내야 하는 것인데 이는 매우 가혹하다"고 말했다.
 
규제 완화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에선 운전석 없는 완전 자율주행차가 불법이다.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으면 가능하지만 명문화된 요건이 없어 국내 기업들은 해외에서 레벨4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국내 길거리에서 자율주행 테스트는 불가능한 상태여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시험주행하기가 어렵다"며 "선진국에 비해 소프트웨어, AI 등의 기술력이 3~4년 뒤져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네거티브 정책을 바꿔야 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