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환경투자 강화에 정부 지원 필요성 호소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 토론회
원가부담 급증, 환경규제 강화로 막대한 시설투자비 마련 한계
"유럽 벤치마킹해 정부 지원 시급, 저감 시설 확보에 시간 필요"
2023-06-20 09:00:00 2023-06-20 09:00:00
[뉴스토마토 이범종 기자] 시멘트업계가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환경 배출물질 개선에 필요한 환경투자 시설개조에 자체 여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국회에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공동 개최한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공동 개최 의원은 엄태영(충북 제천시단양군), 이철규(강원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정선군), 유상범(강원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 권성동(강원 강릉) 의원입니다.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앞줄 왼쪽 네번째부터 유상범 의원, 한화진 환경부 장관, 엄태영 의원(가운데),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장(앞줄 오른쪽 다섯번째), 이종석 삼표시멘트 대표(앞줄 오른쪽 세번째). (사진=한국시멘트협회)
 
토론회에는 산업계와 학계, 정부부처, 지자체 관계자, 지역 시민단체 등 이해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시멘트 생산 시설 환경관리 현황 점검과 효과적인 관리 방안,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 수립 등을 논의했습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눈에 띄는 점은 특히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의 설치와 관련한 국가 지원방안이 '핀셋' 의제로 부각된 점"이라고 했습니다.
 
7월1일부터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시멘트 제조업이 추가되면서, 미세먼지의 일종인 질소산화물(NOx) 최대 배출기준이 기존 270ppm에서 강원·충북 공장 기준 118~168ppm으로 강화됐습니다.
 
시멘트업계는 향후 규제 강화를 대비해 순환자원 사용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순환자원 재활용을 확대하면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 배출 저감효과가 뚜렷하다는 게 협회 설명입니다. 아울러 현행 SNCR(선택적비촉매 환원설비)의 효율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토론회에서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은 SCR(선택적 촉매 환원설비)을 도입하자는 일부 주장에 대해 "OxyFuel, SCR 등 다른 저감기술 도입에 따른 기술적, 공간적, 경제적 문제점이 상존한다"고 걱정하며 "성능 검증 등 기술적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현장 적용으로 효과가 입증되어야 도전 가능한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국내서는 SCR 설치 근거로 유럽 사례를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협회는 지난 5월 국내 기자단 유럽 시멘트 공장 방문 방시 유럽도 SCR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협회에 따르면, 당시 폴리시우스사의 우베 마스 기술부문 총괄 책임자가 "독일을 제외한 서유럽은 전체 생산라인의 약 20%를, 동유럽은 이보다 낮은 약 10%의 생산라인서 SCR을 적용중"이라며 "점차 확대중에 있으나 설치 후 예상보다 효율이 낮은 경우도 발생해 본격적인 확대 적용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처음 설비 설치시 지원금을 받지만 효율이 낮을 경우 불가피하게 철거한 뒤 SCR을 재설치 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시멘트업계가 설치비 전액을 자체 부담해야 한다는 어려움도 토로했다고 전했습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SCR을 설치할 경우 생산라인(킬른) 1기당 수백억원의 설치비가 필요하지만, 매년 설치비용에 버금가는 운영비가 추가로 필요한 것은 물론 운영 과정에 다량의 온실가스가 추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멘트업계 경영여건상 재원 마련도 어렵고 탄소중립 실현에도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멘트 업계는 지난 5년간 환경부문 설비투자에만 약 2조315억원을 투입했습니다. 협회는 SCR 설치시 운영비만 매년 약 7000억원(가동중인 킬른 35기 × 운영비 약 200억원/년 추산시)이상 추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협회 관계자는 "천문학적 재원 마련이 시급한데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는 유럽과 달리 국내서는 저리 융자 정도에 그쳐 아쉽다"며 OECD 국가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시멘트 판매가격을 감안할 때 재원 마련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우려했습니다.
 
또 설비 설치 공간 부족으로 기존 에코발전(폐열발전) 시설을 포기할 경우 중복투자 부담도 상당하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에 대해 협회 관계자는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 외에 환경개선에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 규제완화 등이 절실하다"고 했습니다.
 
이창기 부회장도 "과거 우리보다 훨씬 더 많았던 일본의 시멘트 생산규모가 현재는 국내 생산에 절반 수준에 불과한 사례를 보면 국내 시장규모도 머지않아 일본의 전례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멘트 공장 주변 환경개선을 위해 시멘트업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주민도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범종 기자 smil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