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범 기자]
‘코로나
19’를 거치며 극장업이 존폐 위기에 처했을 때 멀티플렉스
3사
(CJ CGV(079160), 롯데시네마
, 메가박스
)는 직원 감축을 통해 위기를 벗어나려 했습니다
. 특히
CGV는 지난
4년 동안
53%의 단기직 인력을 감축했는데요
. 현재 코로나
19 직전인
2019년 매출의
80%까지 회복했지만 극장에선 여전히 직원이 보이질 않습니다
. 영화관 서비스 질은 그만큼 떨어졌는데요
. 이런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영화관 관람료 인하를 위한 영화발전기금 폐지 선언까지 했지만 극장업계는 관람료 인하에 대해 요지부동입니다
.
CJ CGV. 사진=뉴시스
4년 동안 53% 인력 감축
CGV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단기근로자는 총 1999명(남자 918명, 여자 1091명)이었습니다. 이 기간 CGV 전국 직영점 개수는 115개. 산술적으로 한 개 지점당 17명이 근무했습니다. 하지만 2023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단기근로자는 총 944명(남자 402명, 여자 542명)으로 줄었습니다. 4년 만에 53%를 감축했습니다. 직영점 숫자는 123개로 오히려 소폭 증가했습니다. 한개 지점 당 7.6명이 근무한 셈입니다. 지점수는 코로나 이전 대비 증가했지만 단기근로자 숫자는 오히려 절반 가량 줄어든 겁니다.
CGV측은 “인건비 등이 포함된 고정비 증가와 코로나19 시기 상영관 내 취식 금지 등으로 매점 매출 급감 및 영업 시간 제한 등으로 매출이 급감해 인력을 줄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이후인 2023년 매출을 비교해 봤을 때 전체 매출은 80% 가량 회복된 상태입니다. 2019년 CGV 전체 매출액은 1조9422억원대였고, 2023년 매출은 1조5458억원대였습니다. 매출 회복의 원동력은 관람료 인상에 따른 관객수 회복이 기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영업손실도 흑자로 돌아섰는데요. 2022년 702억원대 영업손실에서 작년에는 490억원대로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줄어든 인력에 대한 확충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요. CGV 측은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는 90% 가량 단기근로자 인원 감축을 통해 자구책을 적용했었다”면서 “2021년부터 단기근로자 규모도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도 많이 듣고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뉴시스
서비스 질 저하, 중장년층 고충
직원 수가 줄면서 고객 불편은 가중되는 상태입니다. 특히 자동화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의 이용 어려움이 커 보입니다. CGV피카디리에서 만난 김모(75)씨는 “노인들이 기계(키오스크)를 이용하지 못해 너무 불편하다”면서 “매표 직원이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아 물어볼 사람도 없어 젊은이들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행 성모(70)씨도 “젊은 친구들은 다양하게 할인 받는 법을 알지만 노인들은 직원 도움을 받아야 알 수 있는데 물어볼 사람이 없다”며 “상주 직원까지는 아니라도 그때그때 물어볼 직원이라도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극장마다 직원 수가 줄면서 근로자 한 사람이 감당해야 하는 업무량이 대폭 늘었습니다. 과거에는 매표소와 입장 안내, 매점 직원 등이 서로의 할 일을 나눠서 했지만 지금은 매점에서 팝콘을 튀기던 직원이 급하게 매표소로 달려오기도 하고, 매표소에 있던 직원이 매표소를 비운 채 입장 안내를 하기도 합니다.
인원 감축으로 서비스 질이 저하될 동안 극장 관람료는 꾸준히 올랐습니다.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영화 관람료는 총 3차례에 인상됐는데, 국내 극장업 점유율 1위 CGV 관람료 인상 결정에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눈치 경쟁을 통해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2019년 평일 1만원, 주말 1만1천원이던 영화 관람료는 현재 평일 1만4천원, 주말 1만5천원입니다.
사진=뉴시스
CGV는 “관람료 인하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극장업계를 압박 중입니다. 내년부터 영화관 입장권 가액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던 3% 영화발전기금을 폐지할 테니 관람료 인하를 논의하라는 것입니다. CGV는 “당분간 관람료 인하는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CGV 측은 “3%의 영화발전기금 폐지와 매출 회복세에 따른 관람료 인하 여부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영화 시장 전체 시각에서 관람료 인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야 할 부분이 있음을 알아 달라”고 입장을 전했습니다.
김재범 대중문화전문기자 kjb51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