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4월 12일 15:57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황양택 기자] 키움캐피탈의 단기차입 비중이 지난해 대폭 상승했다. 주요 캐피탈사 가운데 가장 높다. 고금리 환경이 지속된 영향인데, 올해 금리 하락 국면이 예상되자 다시 장기 회사채 비중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자산과 부채 만기구조가 불일치한 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자금조달, 단기차입 의존도 커져
11일 회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키움캐피탈은 지난해 단기차입의존도가 24.1%로 전년도 7.3% 대비 3배 넘게 커졌다. 총 조달 잔액 1조9051억원 가운데 단기조달 잔액이 4585억원이다. 전년도 잔액은 각각 1조7178억원, 1255억원이다. 캐피탈사의 외부 조달은 곧 차입부채를 뜻한다.
키움캐피탈의 단기차입 의존도는 캐피탈 업계서도 가장 높은 상태다. ▲
한국캐피탈(023760) 19.0% ▲롯데캐피탈 12.2% ▲한국투자캐피탈 11.8% ▲애큐온캐피탈 10.6% ▲JB우리캐피탈 8.5% ▲신한캐피탈 7.9% ▲엠캐피탈 7.9% ▲DGB캐피탈 7.7% 등으로 확인된다. 22개 캐피탈사의 단순 합산 평균은 약 5.3%다.
DB캐피탈의 경우 단기차입의존도가 27.9%지만 영업자산과 자금조달 규모가 각각 4257억원, 3496억원으로 기본 외형 자체가 작다. 회사채 신용등급 역시 BBB+급으로 낮아 조달 여건이 열위한 편이다. 이를 감안하면 단기차입에 대한 의존도가 20%를 넘어서는 곳은 키움캐피탈뿐이다.
키움캐피탈의 조달부채 1조8883억원 가운데 회사채가 1조4962억원으로 79.2%를 차지한다. 차입금은 3822억원으로 20.3%, 나머지 99억원(0.5%)은 기타부채다. 회사채 규모는 전년도와 같은 수준인 반면 차입금은 2000억원 늘었다. 신규 발행금리가 여전히 높게 적용됐던 만큼 이자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기 구조를 단기로 가져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키움캐피탈은 지난해 만기가 1년 이하인 회사채 발행의 물량을 늘렸고 단기차입금 금액도 같이 증가했다.
키움캐피탈 관계자는 <IB토마토>에 “지난에도 금리가 높았기 때문에 롤오버(만기 연장) 가능한 자산 위주로 단기차입을 많이 했다”라면서 “차환할 수 있는 거래처를 발굴하면서 대응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면 장기 회사채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사진=키움금융)
유동성 지표 저하…만기구조 불일치 개선 필요
키움캐피탈은 단기차입 의존도가 높아 유동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저하됐다. 지난해 원화 유동성비율은 187.6%로 전년도 208.5% 대비 20.9%p 하락했다. 이는 원화 유동성부채 대비 유동성자산 수준을 나타내며 90일 이내 만기도래가 산정 기준이다.
구체적으로 유동성자산은 7181억원이며 유동성부채는 3828억원이다. 해당 자산과 부채 모두 규모가 늘었는데 부채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에 비율이 떨어졌다. 다만 수치 자체가 100%를 넘어서고 있는 만큼 단기 자금 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유동성은 갖춘 셈이다.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 대비 자산 비율은 94.7%다. 전년도 78.8% 대비 수치가 높아졌다. 그럼에도 만기 불일치 위험이 오히려 커졌다는 평가가 나오는데, 부채 구성에서 단기차입의존도가 상승하고 유동성차입부채가 증가한 탓이다. 지난해 키움캐피탈의 유동성차입부채는 1조2730억원으로 차입부채 내 비중이 66.8%로 높다.
단기차입의존도 산정에 적용한 단기차입부채가 ‘발행만기’ 기준 1년 이내 차입부채라면 단기성차입부채는 ‘잔존만기’ 1년 이내가 기준이다. 즉 지난해 신규로 발행한 채권 가운데 만기 1년 이내인 물량이 늘었는데, 보유하고 있는 기발행 채권에서도 만기가 1년 내 도래하는 건들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반면 자산 측면에서는 회수 기간이 비교적 장기로 이뤄진 포트폴리오가 문제로 꼽힌다. 할부금융과 리스 없이 대출채권과 유가증권, 신기술금융자산 등으로 구성됐는데, 특히 대출 부문도 부동산금융(5568억원) 비중이 33.3%로 높기 때문이다.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자산 규모가 더 커져야 유동성 지표가 개선될 수 있다.
키움캐피탈 관계자는 “자산 측면에서는 2025년 초반에 만기가 몰려 있는 편”이라면서 “중도금 대출도 취급하고 있는데 2025년 2~3월에 만기가 큰 건들이 존재한다. 작년 말에는 1년 유동성에 잡히지 않았던 것들인데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반영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년 초에 만기 도래하는 건은 안전자산에 속한다”라면서 “올해는 유동성 비율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수치상으로도 반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