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일명 '채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이 4파전 양상인 국민의힘 당권 경쟁 초반 '최대 변수'로 부상했습니다. '조건부 찬성' 입장 밝힌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맞서 나머지 주자들이 각을 세우면서 7·23 전당대회 초반 '1대 3 구도'를 형성했는데요. 채상병 특검법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의 분수령인 만큼, 이 지점이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판세의 변곡점이 될 전망입니다. 다만 이들은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특검과 관련해선 일제히 '방탄'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의 사안별 주요 입장. (그래픽=뉴스토마토)
3대 1구도 형성…"한동훈 특검도 할 거냐"
24일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권 주자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의원·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윤상현 의원 사이에 채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을 둘러싼 대립 구도가 형성돼 있습니다.
당초 친윤(친윤석열계) 대 비윤(비윤석열계) 구도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 전당대회가 한 전 위원장의 채상병 특검 관련 발언으로 '한동훈 대 반한동훈' 구도로 확장된 겁니다.
한 전 위원장은 출마 기자회견 당시 "민심을 거스를 순 없다"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 종결 여부와 무관하게 제3자가 특검을 고르는 내용의 채상병 특검법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 이 문제를 정면돌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한 전 위원장의 입장에 각 주자들은 '반한동훈 연대'를 구성한 듯 일제히 반대하며 '선 수사 후 특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나 의원과 윤 의원은 "한동훈 특검도 야당이 발의했는데 여론조사가 높으면 특검을 할 건가"라는 공통된 입장을 내놨습니다. 특히 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의 특검 거론은) 나이브하고 순진한 생각"이라며 "역시 정치를 좀 오래 하셔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채상병 특검을) 받고 나면 (야당에서) 이거 받아라, 저거 받으라 계속할 거다. 그러면 우리가 진짜 해야 할 민생은 온데간데없다"고 꼬집었습니다.
원 전 장관도 "수사는 경찰이든 검찰이든 철저히 진행돼야 한다. 미진하면 법에 정해진 대로 특검을 가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정치적 의혹이라고 전부 특검 가면 경찰, 검찰, 공수처, 헌법에서 정해놓은 일차적 수사기관이 뭐하러 있냐"고 짚었습니다.
야당에서도 한 전 위원장이 제안한 특검법에 반대 입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승원 민주당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의 특검법 제안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특검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한 것은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특검 가동이 너무 늦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제3자가 특검을 골라야 한다는 한 전 위원장의 주장에도 "추천권자를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사실은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윤상현(아랫줄 왼쪽부터)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건희 여사 '지키기'…사안별 미묘한 입장차도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서는 모든 당권 주자들이 '방탄'을 자처하고 나섰는데요. 다만 한 전 위원장은 "지금 단계에서 특검을 도입할 만한 사안이 아니다"라면서도 특별감찰관 추진과 제2부속실 설치를 요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나 의원은 "수사 종료 후에 진실 규명이 미흡하다면 논의할 수 있다"며 입장으로 채상병 특검법과 같은 입장을 보였습니다.
원 전 장관은 김건희 특검법을 고리로 한 전 위원장에 대한 견제를 본격화했습니다. 그는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사건은 오래됐다"며 "지난 2년 동안 민주당 특검 소재로 주렁주렁 끌려온다는 게, 과연 지난 2년간 법무부는 무엇을 했고, 사법부는 무엇을 했고 여당 지도부는 무엇을 했나"고 지적했습니다. 법무부 장관 출신인 한 전 위원장을 직접 겨냥한 겁니다.
대선 출마 여부를 놓고도 한 전 위원장에 대한 견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차기 당대표가 2027년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대선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하는데요.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한 전 위원장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2025년 9월쯤에는 당대표직을 내려놔야 합니다.
나 의원은 관련해 '차기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대표를 (대권의) 디딤돌로 생각한다고 많은 분이 비판한다"고 직격했습니다. 이에 한 전 위원장은 대권 관련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으며 "되게 먼 미래다. 지금 당장은 당의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의 기반을 만든다는 것에 집중할 때"라고 반박했습니다.
당정 관계 설정에 대한 당권주자들의 미묘한 입장차도 확인됩니다. 이른바 '윤·한 갈등'의 당사자인 한 전 위원장은 "당정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쇄신하겠다"고 밝히며 다른 당권주자들과 차별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대통령실과 거리두기에 나섰습니다.
반면 나 의원은 '무계파'를 부각하며 '당정 동행'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조건 없이 힘과 마음을 합쳐 어려움을 극복할 것이다. 부족함과 실수가 있다면 과감히 고쳐나갈 것"이라며 "당정동행, 밀어주고 끌어줄 것"이라고 했습니다.
원 전 장관은 '당정 일체'를 강조하면서도 "당심과 민심을 대통령께 가감없이 전달하겠다. 이를 위해 레드팀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윤 의원은 "총선 민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로잡아 당정관계를 바로 세우겠다"고 말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