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자산' 선호..원화자금조달, 저축성예금 중심 증가
금감원 ‘2012년 상반기중 국내은행 자금흐름의 주요 특징 및 감독방향’ 발표
2012-07-17 12:00:00 2012-07-17 12:00:00
[뉴스토마토 고재인기자] 금융소비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경향으로 국내은행의 원화자금조달이 저축성예금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2012년 상반기중 국내은행 자금흐름의 주요 특징 및 감독방향’을 발표했다.
 
감독방향에 따르면 6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자금조달(잔액)은 1250조원으로 2011년말 대비 26조2000억원(2.1%)증가했다.
 
이는 2012년 상반기 중 저축성 예금을 중심으로 원화예수금이 전년말 대비 34조9000억원이 증가해 1028조4000억원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특히, 은행의 정기예금 확대노력으로 정기예금이 25조6000억원 늘었다.
 
반면, 금융시장 불안감으로 은행채 등 시장성수신은 221조6000억원으로 8조7000억원 감소했다.
 
조달된 자금으로 6월말 현재 원화대출금 및 원화유가증권으로 사용된 자금은 1367조3000억원으로 2011년말 대비 2.4%(32조원) 증가했다.
 
원화대출금은 6월말 현재 1089조6000억원이며, 올 상반기 중 2.0%(21조2000억원)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4.3%(43조원) 증가보다는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기업대출은 상반기 중 4.1%(23조8000억원) 증가해 전년 동기 4.9%(26조7000억원)와 비슷한 증가폭을 유지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3조6000억원 증가했지만 대출재분류(중소→대기업대출, 13조9000억원) 효과를 감안할 경우, 전년 동기 2.7%(11조9000억원) 보다 3.8%(17조5000억원) 증가했다.
 
개인사업자대출은 상반기 중 4.9%(7조8000억원) 증가해 2011년 하반기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가계대출은 부동산 경기침체 및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 등의 영향으로 0.5%(2조3000억원) 증가에 머물렀다. 전년 동기 3.0%(13조원) 증가한 수치 대비 큰 폭으로 증가세가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상반기 중 1.5%(4조5000억원) 증가했지만 작년말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 주택거래 부진 등에 따라 전년 동기 3.9%(11조1000억원) 대비 상승세가 둔화됐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은 상반기 중 1.5%(2조2000억원) 감소했다.
 
원화유가증권은 6월말 현재 277조7000억원으로, 일부은행의 유가증권 운용 확대 등으로 올 상반기 중 10조8000억원 증가했다.
 
6월말 현재 원화대출 연체율은 1.09%로 작년말 이후 상승세를 나타내던 연체율이 꺾였다.
 
은행들의 신규연체 감소 및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 등으로 전월말 1.36% 대비로는 0.27%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32%로 세계적 경기둔화세 지속 및 국내 부동산 경기부진의 영향으로 건설업 및 선박건조업 등의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전년말 1.10% 대비 0.22%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80%로 전월말 0.98% 대비 0.18%포인트 하락했지만, 일부 대기업의 기업회생절차신청 등으로 전년말 0.25% 대비 0.55%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 1.49%로 전년말 1.34% 대비 0.15%포인트 상승했다. 전월말 1.94% 대비로는 0.45%포인트 하락해 올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 0.83%로 전년말 0.67% 대비 0.16%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월말 0.97% 대비 0.14%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74%로 전년말 0.61% 대비 0.13%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월말 0.86% 대비로는 0.12%포인트 줄었다.
 
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1.02%로 전년말 0.80% 대비 0.22%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월말 1.21% 대비로는 0.19%포인트 떨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초 축소됐던 가계대출이 최근 소폭 회복 추세에 있는 점을 감안 안정적인 수준에서의 대출관리기조 유지하고 있다”며 “향후 경기 둔화세 지속시 연체율 상승 가능성에 대비해 경기민감업종 등 취약부문에 대한 리스크관리 강화 유도하고 무분별한 시장성수신을 통한 외형확대 경쟁을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로 인해 중소기업대출 등 특정부문에 대한 대출 위축으로 실물부문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