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정기자] 국내 투자 증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설비투자가 제조업에 편중됨에 따라 업종 간 불균형이 우려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내 고정투자 및 설비투자에서 제조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2배 이상 높지만 서비스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낮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17일 'BOK 경제리뷰-우리나라 고정투자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설비투자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4.0%, 38.2%로 OECD 평균(각각 25.2%, 57.9%)에 비해 설비투자의 제조업 편중 정도가 매우 심했다.
◇주요국 투자의 업종별 구성(2008~2010년 평균)
김태정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선임 연구원은 “서비스업 부문의 투자 비중이 낮은 것은 전통적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국내 서비스업의 영세성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국내 서비스업은 도소매·음식 숙박 등 영세한 전통 서비스 업종의 비중이 높고 서비스 업체의 전반적인 규모가 작다”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업 부문의 저조한 설비투자로 인해 서비스업의 노동장비율(노동사용량에 대한 자본사용량의 비율)을 낮아지고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노동생산성 격차가 확대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00년대 들어 제조업의 노동장비율에는 큰 변동이 없지만 서비스업의 노동장비율은 대체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서비스업을 추월하기 시작해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김 연구원은 “국내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 위해서는 고정투자가 제조업에 편중되지 않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으로 유입되도록 해 업종 간 균형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