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사, 지배구조 대수술 불가피
경영진-사외이사간 유착 차단..주주권 강화 핵심
2013-04-24 17:02:33 2013-04-24 17:05:14
[뉴스토마토 이종용기자] 지난주부터 금융위원회의 금융사 지배구조 선진화 태스크포스(TF)가 가동된 것을 시작으로 금융사 지배구조를 바꾸는 대수술이 시작됐다.
 
정부의 각오가 남다른 만큼 국내 은행 금융지주사들은 지배구조 전반의 대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위, 6월까지 로드맵 완성..7월부터 본격 착수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연일 금융사 지배구조 쇄신 관련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그는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은 개별 금융사 건전성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금융사 건전성은 건전한 지배구조에서만 확보될 수 있다"며 TF를 통해 개선 방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의 의지에 따라 금융위 TF는 오는 6월 말까지 지배구조 개편 등 주요 현안의 세부 실행 계획을 완료하고, 7월부터는 개선 작업에 본격적으로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금융위 TF에서는 기관투자자들의 주주권 강화를 통한 지배구조 개선책이 거론되고 있다. 주요주주인 국민연금이 추천하는 사외이사 1~2명을 금융지주사 이사회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논의한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이 추천한 사외이사가 회장이나 은행장, 사외이사 등 경영진을 선임할 때 후보추천위원회에 들어가면 기존 경영진과 사외이사들이 자리를 나눠 먹는 관행이 고쳐질 것이라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이와 함께 '사외이사 모범규준'을 개정해 총액보수 한도만 공시하고 있는 사외이사의 보수를 개별적으로 공시토록 하는 제도 개선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나치게 많은 금융회사 사외이사의 보수가 실질적으로 삭감될 전망이다.
 
아울러 금융지주사 최고경영자(CEO)의 임기를 일정한 기간 이상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연임 횟수를 2~3회로 제한함으로써 회장의 권한을 견제하겠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하영구 씨티은행 회장이 다섯 번째 연임에 성공한 바 있다.
 
◇'외풍 적다는' 신한·하나금융지주도 살얼음
 
금융위가 금융사 지배구조에 메스를 대겠다고 나서자 금융권은 살얼음 판을 걷고 있다. 정치적 외풍이 상대적으로 덜한 금융지주사들도 예외가 아니다. 신한지주(055550) 관계자는 "신한금융사태가 취약한 지배구조 대표사례로 꼽히고 있어 곤욕"이라고 말했다.
  
신한사태는 지난 2010년 9월 이백순 전 행장이 이끌던 신한은행이 신상훈 당시 신한금융지주 사장을 배임 및 횡령 혐의로 고소하면서 촉발됐다. 아직도 금융권에선 지배구조의 취약성을 드러낸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경영진의 분쟁이 이어지자 2011년 금융지주사들은 대부분 CEO 승계 프로그램을 포함한 지배구조 개선책을 내놨다. 다만 아직 시행된지 2년이 채 안돼 케이스가 전무하고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민연금 측 인사를 사외이사에 앉히는 방안이 구체화되면 4대 금융지주 모두 자유롭지 못하다. 국민연금은 이들 금융지주사의 최대주주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하나금융지주(086790) 지분 9.35%, KB금융(105560) 8.58%, 신한지주 7.28%, 우리금융(053000) 5%)
 
또 금융사 가운데 가장 먼저 지배구조 개선책을 내놓았던 신한·하나금융지주에서는 현직 회장이 지배구조 및 회장추천위에서 활동하고 있어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현직 회장이 후보로 선정되면 후보추천위에서 제외되긴 하지만, 재임기간 쌓아온 사외이사과의 유대감을 감안하면 불필요한 오해를 살 소지가 없지 않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차기 회장 선출 작업을 본격화한 우리·KB금융지주는 외부 인사로만 후보추천위를 구성하거나(KB) 회장 후보를 공개모집하고 있어(우리), 내부 승계프로그램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국내 금융지주사에선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지배구조 이슈가 새롭게 부상한다"며 "'금융사 지배구조가 '설 익었다'고 보는 새 정부가 어떤 가이드라인을 갖고 있는지 관심"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