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브리핑)해수부, 수산물 유통비용 10% 절감 한다
유통구조 개선 및 정부 비축분 확대, 수산업 관측 강화
2013-07-10 17:28:28 2013-07-10 17:44:53
[뉴스토마토 한승수기자] 정부가 수산물의 위생·품질을 향상시키고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낙후된 유통시설과 복잡한 유통구조를 대대적으로 개선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0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를 위한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유통 경쟁구조 강화 등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해수부는 수산물의 유통구조는 연근해산, 양식산, 원양산 등 생산지 품목에 따라 복잡하고, 제한된 유통경로로 인해 유통비용이 높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개선키로 했다.
 
연근해산의 경우 생산자단체 중심으로 산지에서 소비자 식탁까지 새로운 4단계형의 유통경로를 만들기로 했으며, 양식산은 활어 전문물류센터 등 새로운 거래환경을 조성해 기존의 장외시장 및 도매시장과 경쟁을 촉진하고 안전하고 위생적인 수산물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지 거점유통센터(FPC) 확충 등 산지유통 기능 강화로 유통비용 절감효과를 높일 방침이다. 또 소비지 분산물류센터를 도입하고 마케팅을 강화해 유통경로 간 경쟁을 촉진시킬 방침이다.
 
원양산의 경우 도매시장 반입물량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구축, 가격인하 및 소비 촉진을 유도할 계획이다.
 
거래제도는 정가·수의매매 확대 등 농산물 도매시장 개선방안을 수산물 시장에 도입해 법인과 중도매인의 역할을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사업처럼 관광과 연계된 복합공간을 조성하고 전국 수산물 도매시장 기능 재정비를 통한 소비자 편의성을 높이는 작업도 추진된다.
 
또한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산물과 연계한 로컬푸드형 직매장을 확대하고 수산물 사이버 직매장을 개설할 계획이다.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 발표 현장(사진=한승수기자)
 
◇어종별 온도관기 기준 정립 등 수산물 위생 상태 개선
 
수산물의 위생과 물류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산지 위판장 위생수준을 올리고,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저온 유통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위판장은 위생관리기준을 마련하고 거점 위판장 중심으로 품질위생관리형 위판장으로 전환해 위생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어종별 온도관리 기준을 정립해 위판장·FCP·도매시장·물류센터 등 저온 유통시스템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거점시설의 냉장·냉동시설 완비, 냉동탑차 등 위생적 운송수단 지원할 방침이다.
 
어종별 표준규격 확대·적용해 산지와 소비지의 위생적 어상자 공동이용체제 구축하는 등 수산물의 규격화도 추진된다.
 
품질 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원산지 표시 관리가 강화되고 수산물 이력제가 확대된다. 현재 4427개 수준의 수산물 이력제 참여업체를 5200개로 확대하고, 이력제 등록 품목도 20개에서 매면 1개씩 추가시킬 계획이다.
 
◇정부비축 확대 등 수산물 소비자 물가 안정
 
해수부는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의 정부 비축 물량을 2017년까지 2배로 확대하고 비축품은 전통시장 등에 직접 판매하는 방법으로 소비자 물가 안정에 기여할 예정이다. 현재 1만4000톤의 비축 물량은 2017년에는 2만8000톤으로 확대된다.
 
또 주요 수산물에 대한 관측 대상 품목을 확대하고 생산량 예측을 통한 선제적 수급관리도 추진된다. 현재 김·미역·광어·우럭 등 11개 양식어종으로 구성된 관측 대상에 고등어·오징어·갈치·명태 등 잡는 어종을 추가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번 대책으로 생산자단체 중심의 4단계형 유통경로 창설, 도매시장 운영개선, 직거래 확산 등을 통해 유통비용을 1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9.2%에 달하는 가격변동률을 7.5% 수준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윤진숙 해수부 장관은 앞으로 현장에서 "이번 대책을 통해 수산물 유통 구조가 획기적으로 개선돼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