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빌딩 수습 난국…늦어진 안전진단·세입자 배상 문제까지
"육안조사 위주 점검체계 개선 시급"…이번주 예정이던 보강공사 다음주로
2018-12-15 06:00:00 2018-12-15 06:00:00
[뉴스토마토 신태현 기자] 붕괴 위험에 휩싸인 강남 삼성동 대종빌딩에 대한 사후 수습이 총체적 난국에 봉착했다. 보강공사와 안전진단 문제가 어렵게 합의에 이르렀지만 손해배상 등 또 다른 문제가 산적해 있다.
 
14일 방문한 대종빌딩에는 노란 통제선이 쳐져있었다. 붕괴 소식이 이슈화된지 며칠이 지났는데도, 행인들은 여전히 노란선이 눈에 들어오자 신기하다는 듯이 빌딩을 위로 올려다 봤다.
 
붕괴 위험을 조속히 제거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이번주 내로 하기로 했던 건물 보강공사는 다음주로 지연됐다. 강남구와 건물주들과의 협상 과정에서 보강공사과 정밀안전진단의 비용 부담 문제를 처리하느라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결국 건물주들이 비용을 부담하기로 했다. 보강공사가 이뤄진 다음 안전진단이 이뤄지기 때문에 둘 중 어느 하나라도 합의가 되지 않으면 안전진단 기한은 그만큼 늦춰질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공사 이후로도 안전진단에는 2개월이 걸린다.
 
그나마 보강공사와 진단 문제는 뒤늦게나마 일단락 됐지만, 건물주 말고도 세입자의 손해배상 문제도 쟁점화될 전망이다. 이날 오후 2시쯤 김형복 대종빌딩 세입자 임시대표는 대종빌딩에 차려진 강남구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를 찾았다. 세입자들에게 오는 17일 회의를 연다는 내용을 공고하겠다고 강남구에 알리기 위해서였다. 김 대표는 "갑자기 퇴거 조치가 내려지면서 임대료, 인테리어 비용, 영업 피해가 크다"며 "건물주보다 세입자가 더 문제"라고 말했다.
 
육안조사 위주의 안전점검 체계를 고쳐야 재발 방지가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강남구 한 오피스텔을 관리하는 주택관리사 20년 경력의 김모씨는 "아파트는 3년마다 한번씩 기기를 동원한 안전점검이 의무화돼있다"며 "빌딩에 육안관리만 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남구 또한 지난 12일 현장브리핑에서 육안점검의 한계를 인정했으며, 박원순 서울시장 또한 지난 11일 점검 체계 변화 필요성을 피력한 바 있다.
 
1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한 행인이 대종빌딩을 쳐다보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신태현 기자 htenglis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