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민우 기자] 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시장점유율 10%를 목표로 국내 시스템 반도체 밸류체인을 완성한다는 구상입니다. 국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강점을 기반으로 한 팹리스(반도체 설계·개발) 기업의 육성, 지원이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정부도 팹리스 업계의 주요 애로사항인 네트워킹 강화, 시제품 제작기회 확대, 자금 지원 등에 주력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팹리스 기업에는 향후 3년간 24조원 규모의 대출·보증을 우대 지원합니다.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 투자도 개시합니다.
현 30% 수준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자립률은 50%까지 끌어올리고 1곳뿐인 국내 반도체 분야의 '1조 클럽 가입' 기업을 10곳으로 늘리기 위한 지원에도 나섭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5일 발표한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보면, 정부는 팹리스와 관련해 향후 3년간 24조원 규모의 대출·보증을 우대 지원(최대 1.3%포인트 금리)하는 '반도체 생태계 도약 프로그램'을 마련합니다.
반도체 생태계 펀드 투자는 3000억원 규모로 글로벌 매출액 상위 50위 내 기업에 국내 기업 10곳의 이름을 올리겠다는 계획입니다.
시제품 제작 비용에 대한 국비 지원 규모도 지난해 24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늘려 잡았습니다. 첨단칩 개발 지원을 위한 초미세 공정 국비 지원도 신설합니다.
파운드리 기업의 시제품 제작 개방 횟수는 72회로 확대합니다. 팹리스가 개발한 칩의 성능 확인을 위한 '검증지원센터'도 구축합니다.
또 정상 외교를 통해 미국, 일본, 네덜란드, 영국 등 반도체 주요국과의 협력체계를 구축, 공급망 안정화 기반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소부장·팹리스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내 시스템 반도체 밸류체인 완성에도 주력합니다. 취약한 소부장 경쟁력은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로 직결되기 때문에 소부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취약기술은 해외기업 유치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게 산업부 측의 설명입니다.
현재 30% 수준인 소부장 자립률은 2030년까지 50%로 올리고 1조 클럽 기업을 현재 4곳에서 10곳으로 늘리겠다는 방침입니다. 현재 3%인 시스템 반도체의 시장 점유율도 10%까지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잡았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공개했다. 사진은 반도체 공장 살피는 정부 관계자 모습. (사진=뉴시스)
소부장 개발이 상용화와 직접 연계되는 연구개발(R&D) 체계도 구축합니다. 업계 숙원사업인 소부장 실증 테스트베드는 조기 구축하는 등 제품 개발 후 양산라인을 신속 투입, 지원합니다.
용인 하이닉스 클러스터 내 소부장·칩 기업의 양산연계 테스트베드는 2027년까지 완공, 국가 첨단반도체 실증 테스트베드(ASTC)를 구축합니다. 총사업비는 9060억원 투입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소부장 R&D에는 올해 680억원을 투입하는 등 지원사업을 신설합니다. 글로벌 상위 10개 반도체 장비 기업 중 5곳(램리서치·TEL·ASM·AMAT·ASML)와 국내 세메스 기업, R&D 센터도 유치합니다.
반도체 인력 육성과 관련해서는 반도체 계약학과, 계약정원제, 반도체 특성화 대학, 반도체 아카데미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학사급 실무 인재를 올해 약 3만명 양성합니다.
AI 반도체 대학원,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 BK21 교육연구단 등 R&D 기반의 인력양성 과정도 확대해 석·박사급 고급인력을 약 3700명 양성할 계획입니다.
메가 클러스터 내 판교·수원·평택 3곳은 '3대 미래 반도체 거점'으로 정하고 반도체 차세대 기술별 R&D, 교육에 주력합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반도체(GPU·NPU) 및 고사양메모리(HBM) 수요 증가, 연산과 저장의 통합(PIM), 저전력화, 첨단 패키징(Chiplet), 실리콘의 한계를 돌파할 화합물 반도체 등 변화기술의 패러다임에 대응할 방침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공개했다. 용인 차세대 반도체 R&D 단지 건설 현장을 점검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삼성전자)
세종=이민우 기자 lmw383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