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전거 시장은 크는데..자체 개발력은 한계
2014-05-02 17:51:54 2014-05-02 17:55:59
[뉴스토마토 이지은기자] 전기자전거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배터리·모터의 자체 개발 부재는 시장 경쟁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기자전거 시장 규모는 1만5000여대를 기록해 2012년 1만2000여대보다 25% 급성장했다. 2011년 5000대에 비하면 무려 200% 커졌으며, 올해는 3만대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국과 유럽 등 해외시장의 성장 속도에 비하면 아직은 미약한 수준이다. 이는 곧 잠재 성장력이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 
 
지난해 10월 발간된 전기자전거 세계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자전거 시장 규모는 2012년 3206만대, 지난해 3443만대에 이어 올해는 3683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간 200만대씩 늘어나는 추세다.
 
또 국내 전기자전거 시장이 성장하고는 있지만, 전체 자전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단 0.5%에 불과하다. 중국(29%), 네덜란드(18%), 일본(6.5%)에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과는 명확한 대조를 이룬다.
 
우선 전기자전거의 핵심부품인 배터리와 모터를 외주업체로부터 조달받고 있는 점이 기존 국내 업체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삼천리자전거(024950)알톤스포츠(123750)삼성SDI(006400)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고, 모터 또한 타사 제품을 쓰고 있다. 알톤스포츠 관계자는 "배터리 기술은 자전거와는 전혀 다른 기술이기 때문에 전문업체를 통해 사용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배터리와 모터 등 핵심부품 기술을 외부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해당 기술을 가진 신규 진입 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릴 수 있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
 
지난 2012년 만도(060980)와 한라마이스터는 공동 개발한 '만도풋루스'를 내놓고, 전기자전거 시장에 진출했다. 만도의 자동차 기술을 활용해 자체 개발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메르세데스 벤츠는 '스마트'란 전기자전거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고, BMW·아우디·폴크스바겐 등도 자체 자동차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자전거를 생산하고 있다.
 
기아차(000270)도 지난 3월 제네바모터쇼에서 자체 기술로 만든 전기자전거를 선보인 데 이어 올 하반기부터는 유럽에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처럼 기술력을 앞세운 자동차 업체의 잇단 시장 진출로 점유율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업계는 수요층이 달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의 전기자전거는 고가 프리미엄을 추구해 시중에 400만원 넘는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며 "반면 자전거 업체는 100만~200만원대의 가격으로 생활형 이동수단을 추구하고 있어 방향성이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왼쪽부터)삼천리자전거의 전기자전거 26 팬텀 시티, 26 팬텀 XC, 팬텀 Mini. (사진=삼천리자전거)
 
이와 함께 관련 법규도 전기자전거 시장의 성장을 막고 있는 요소로 꼽힌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페달 또는 손페달을 사용해 움직이는 바퀴 2개 이상의 차로 정의하고 있다.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달리 전기모터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자전거에 포함되지 못한다.
 
대신 도로교통법상 원동기 장치 자전거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배기량 125cc 이하의 이륜자동차 또는 배기량 50cc 미만의 차로 정의된다.
 
따라서 전기자전거는 이륜차로 분류돼 전용도로에서 통행할 수 없고, 자동차 운전면허나 원동기 면허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시속 25㎞ 미만, 총중량 40㎏ 미만의 전기자전거를 자전거에 포함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도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반면 중국, 유럽 등 해외시장은 우리나라보다 법적 규제가 덜하고, 친환경 이동수단이란 점에서 국가적 보조 정책이 뒷받침된다.
 
유럽과 중국 등은 시속 25㎞ 이하일 땐 일반 자전거로 분류하고 있고, 대기오염이 심각한 중국은 전기자전거를 비롯해 전기를 사용하는 교통수단을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소비세를 면제해 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발전에 비해 법이 따라오는 속도가 느리다"며 "해외의 완화된 법 규제가 성장 동력이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