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화석연료, ‘지옥의 연료’라고 함부로 탓하지 말라
환경 파괴, 화석연료가 아니라 인류의 무절제한 자원 남용이 원인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낙관주의 주의해야, 실현가능성 불분명
화석연료 소비의 절약 및 효율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
2015-12-21 13:10:47 2015-12-21 13:10:47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에 따르면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내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전 지구적 온난화가 기후를 변화시키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대량의 화석연료를 생산·운반·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파괴와 사고도 감당하기 어렵다.
 
화석연료 때문에 국제 경제와 정치가 엉망으로 뒤엉키기도 한다. 화석연료의 생산이 줄어들어도 문제가 되고, 넘쳐도 문제가 된다. 그래서 화석연료를 ‘지옥의 연료’로 부르는 전문가도 있다.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도 지옥의 연료에 의한 더 이상의 피해를 막아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렇지만 화석연료가 처음부터 골칫거리였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류 문명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은 원동력이었다. 석탄을 사용하는 증기기관 덕분에 교통과 생산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다. 인력이나 가축의 힘에 의존하던 농경 사회에 산업화의 열풍이 불어 닥쳤다.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인구가 늘어나고, 삶의 질이 몰라보게 향상됐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발전의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오늘날 지구상 70억 인구가 인류 역사상 가능 풍요롭고, 편리하고, 안전하고, 건강하고, 평등한 삶을 살게 된 것은 온전하게 화석연료의 덕분이었다. 그런 화석연료가 골칫덩어리로 변해버린 것은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다. 1952년 ‘런던 대(大)스모그’가 최초의 사건으로 나흘 동안에 무려 4000여 명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화석연료에 대한 비난이 도를 넘어서기도 한다. 전 세계를 공포의 도가니로 빠뜨려버린 중동발 테러도 화석연료 때문이라는 어느 언론학자의 지적이 대표적이다. 복면으로 자신의 정체를 가린 이슬람국가(IS)가 전 세계를 무대로 복면을 쓰고 무차별 학살, 인질 참수, 인신매매 등의 참혹한 반(反)인륜적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 석유 탓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지적은 중동의 불안한 정세를 극도로 왜곡하는 것이다. 중동의 불안정한 정세와 IS의 악행이 모두 석유 탓이라고 할 수는 없다. 중동의 모든 이슬람 국가를 무작정 폄하해서도 안 된다. 2000년 이상 묵은 중동의 종교적·인종적·정치적 갈등은 석유와 무관한 것이다. 석유가 사라진다고 중동의 갈등이 해소될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오히려 유럽 빈민가의 이슬람계 청년들을 위한 사회통합 정책과 중동의 빈곤 청소년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을 강화해 잠재적 IS 전사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는 유럽 지식인들의 인도주의적 주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즉 화석연료에 의한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을 포함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글로벌 이슈는 사실 화석연료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공연히 화석연료를 의인화시켜 책임을 떠넘긴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우리 자신의 무거운 책임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환경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졌어야 했고, 화석연료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민했어야만 했다. 화석연료의 무절제한 남용이 환경과 우리 자신에게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진작 깨닫지 못했던 우리 자신의 무지를 탓해야 한다.
 
태양광·풍력·수소·바이오매스와 같은 대체 연료에 대한 인식도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신재생 에너지가 ‘천국의 연료’라는 환상은 경계해야 한다. 환경에 아무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영원히 지속가능한 연료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태양광 패널을 제작하고, 설치해서 발전을 하는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의 양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수소는 전기와 같은 수준의 에너지 전달 수단이지 진정한 의미의 연료가 될 수 없다. 심지어 어렵게 개발한 원자력도 안심할 수 있는 대안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친환경의 착각에 빠져 불필요한 낭비를 계속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문제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화석연료를 쉽게 포기할 수는 있는 것은 아니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대체 연료를 개발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합성섬유·합성수지·합성고무와 같은 화학제품 생산에 필요한 대체 소재도 개발해야 한다. 대체 연료의 개발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다. 물론 포기할 수는 없다. 대체 연료와 대체 소재를 개발하는 일에 훨씬 더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 당장에는 화석연료의 소비 절약과 효율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다. 무작정 화석연료를 비난하면서 실현가능성이 분명하지 않은 대체 연료에 대한 장밋빛 환상에 빠져들 여유가 없다는 뜻이다. 
 
국가미래연구원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출처/이덕환 교수 블로그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