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우리나라의 중국, 일본에 대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의존도가 갈수록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당장 일본과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소부장 공급망 국가를 물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기업들은 일본과 중국을 중요한 파트너로 여기고 외교적 노력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출간한 '한·중·일 소부장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GVC) 연계성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국, 일본의 소부장 산업은 지난 20년 동안 상호 GVC 연계성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중심 GVC로의 개편이 두드러졌다.
KIEP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중국 소부장 수입 규모는 지난 2001년 50억 달러에서 2019년 535억3000만 달러로 무려 10.5배 증가했다. 또 대 중국 수입 비중이 1% 이상인 품목은 소부장 산업 231개 소분류 기준 21개로 집계됐다. 이들 품목은 총수입이 61.2%를 차지했다.
상위 5개 품목군에는 메모리 반도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등이 포함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대 일본 소부장 수입 규모는 181억3000만 달러에서 318억 달러로 1.8배 증가했다. 주요 수입 품목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열간압연 및 압출제품, 플라스틱 필름시트, 판 및 합성 피혁, 기타 분류가 되지 않은 화학제품 등이다.
우리나라의 대 일본 소부장 무역은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적자폭은 감소 추세에 있다. 일본으로의 소부장 수출 규모는 2001년 61억 달러에서 2019년 140억 달러로 2.3배 늘었다.
KIEP는 소부장 산업과 관련해 한국, 중국, 일본 모두 상호의존형 GVC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국가의 소부장 GVC는 과거 수직적 분업 체계에서 수평적 분업 및 경쟁 체계로 변화하고 있고, 상호 교역 증대가 기술 교류 촉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도 내렸다.
KIEP는 소부장 기업들의 GVC 개편 필요성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일중을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GVC 형성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KIEP 관계자는 "수출입 대상국으로서 중국, 일본의 중요성이 여전히 높아 조달처 변경 가능성이 낮다"며 "비경제적 이슈로 제약은 많지만, 이들 국가는 중요한 파트너이며 상생을 위한 외교적 노력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중의 소부장 산업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으나 여전히 한·중·일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며 "소부장 산업은 보다 고급화된 기술에 기반한 산업으로 육성돼야 하며, 이를 위해 경쟁력 분석과 정부 정책에 대한 기업 만족도에 근거한 본 보고서의 정책 제안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출간한 '한·중·일 소부장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GVC) 연계성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국, 일본의 소부장 산업은 지난 20년 동안 상호 GVC 연계성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울산 남구 장생포 항구 전경.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