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코로나 치료제·백신 개발…숨고르기 들어갔다
약물재창출 한계 직면…중증 환자 감소도 영향
2가 백신 등장에 신규 개발 저조…"로드맵 필요"
2022-08-30 08:00:00 2022-08-30 08:00:00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자급화를 위한 임상 개발 움직임이 주춤하고 있다. 대내외적인 요인이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날 기준 총 13건의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시험이 승인됐다. 백신 임상은 총 10건이 승인받아 진행 중이다.
 
치료제 임상 현황을 보면 가장 최근 식약처 관문을 통과한 시험은 에이피알지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APRG64' 2a상으로 지난달 12일 승인됐다. 직전 승인된 임상과 비교하면 약 4개월 만이다.
 
이 임상을 끝으로 식약처가 승인을 내준 시험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일부 기업들이 임상 개발을 중단하면서 지난 3월 기준 약 20개에 달했던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건수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약물재창출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중단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들. (사진=동지훈 기자)
 
 
활황세를 보였던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개발 둔화 이유는 다양하다. 업계에선 약물재창출의 한계와 기존 치료제와의 경쟁을 주된 요인으로 보고 있다. 약물재창출은 이미 허가됐거나 개발 중인 약물의 적응증을 변경 또는 확장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는 방식을 말한다.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 중인 업체의 관계자는 " 약물재창출의 경우 초기 개발이 비교적 쉽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시도됐다"며 "기대만큼의 효과가 입증되지 않아 지금은 약물재창출 방식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이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금은 해외에서 들어오는 경구용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등 효과가 좋은 치료옵션이 많아졌다"면서 "새로 치료제를 개발하려면 기존 치료제보다 우월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해야 상업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개발 환경이 어려워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임상 진행에 필요한 환자모집이 난항을 겪는 점도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저해 요인 중 하나다.
 
또 다른 업체의 관계자는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전보다 중증화율이 떨어져 중등증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 임상은 환자를 모집하기 힘들어졌다"며 "경증 대상 치료제 임상도 있지만 임상 의사를 밝히는 이들이 많지 않아 어렵기는 마찬가지"라고 털어놨다.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승인 현황(왼쪽)과 백신 임상 승인 현황. (자료=식약처)
 
백신 임상도 상황은 비슷하다. 식약처가 승인한 코로나19 백신 임상은 총 10건이지만 이 중 같은 물질로 진행하는 여러 건의 시험과 개발이 일시 정지된 물질 등을 제외하면 임상 단계 백신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일부 기업은 플랫폼 기술을 갖췄으면서도 본격적인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나서지는 않고 있다. 이미 다른 백신들이 개발돼 접종 과정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했고, 오미크론에 대응하기 위한 2가 백신 허가가 예상되는 등 상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다.
 
업계 전문가 역시 신규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상업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다만 그러면서도 다음 팬데믹 대응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과 기술 확보는 필요하다고 단언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코로나19 변이가 계속되고 있어 기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오미크론 백신이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다"며 "그런 면에서 우리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시간에서 뒤처지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부회장은 또 "상업적 관점에서 본다면 이제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몰입할 시간은 지난 측면도 있다"면서도 "플랫폼 기술이나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가 다음 팬데믹이 왔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선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백신 개발은 기업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산업계와 정부가 연계해 대응할 수 있는 로드맵을 완성하고 이번에 개발된 플랫폼 기술들이 산업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