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재훈 기자]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3년 뒤인 2025년부터 돌아올 것으로 전망되면서 '제 2의 K-반도체' 부흥기를 위한 구체적 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는 자율주행 시대, 인공지능(AI) 확산, 가상현실 도입, 사물인터넷(IoT) 확산 등으로 전산업군에서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업계 안팎에서는 반도체의 전후방 연관 경제효과가 날로 커지고 있는 만큼 제2의 K-반도체 부흥기를 이끌 현실적인 인력 육성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기업들은 협약을 통해 고려대·서강대·포스텍·카이스트·한양대 등에 반도체학과를 신설했다. 특히 2023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는 계약학과가 다수 늘어났다. 계약학과는 입학생에게 각종 지원을 해주고 졸업 후 100% 기업 채용을 보장하는 조건형 학과다.
삼성전자의 경우 기존에 성균관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 각각 계약학과를 두고 반도체 인재를 채용해왔다.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2006년에 신설돼 그간 반도체 분야에서 계약학과 대표 사례로 꼽혔다. SK하이닉스는 고려대학교와 협력해 2020년부터 계약학과인 반도체공학과를 둔 바 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카이스트, 포항공과대학교와 연계해 계약학과를 선보였다. 카이스트는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포항공대는 반도체공학과다. SK하이닉스는 서강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 계약학과를 신설했다. 서강대는 시스템반도체공학과, 한양대는 반도체공학과라는 이름으로 계약학과를 두고 내년도 신입생을 각각 선발한다.
삼성전자는 경북대학교와도 계약학과 신설을 논의하고 있다. 아직 양해각서(MOU) 체결이 진행되지 않은 만큼 입학 정원과 신설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경북대까지 계약학과가 들어서게 되면 전국의 반도체 계약학과는 총 8곳으로 늘어난다.
정부 당국과 국회도 반도체 인력 양성에 두팔을 걷어 붙였다. 국회 반도체특위는 최근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법'을 발의했다. 대기업의 반도체 등 국가첨단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비율을 현행 6%에서 기본 20%까지 올리고 공제 기간을 2030년까지 연장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여기에는 계약학과의 운영비를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등 고급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내용도 담겼다.
또 기업이 대학 등에 반도체 장비 등 중고자산 기증 시 자산 시가 10% 상당 금액 법인세 공제, 맞춤형 고교 인재 양성 사업 포함 등의 내용도 추가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력 육성에 대해 보다 실효성 있는 '핀셋'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가 발표한 대학 위주의 15만명 양성안은 '탁상행정'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세제 혜택, 프로젝트 지원 등 보다 구체적인 대안이 마련돼야한다는 얘기다.
박성기 원익IPS 반도체사업총괄 사장은 "반도체학과 인원을 많이 늘린다고해서 전체적으로 반도체 인력이 육성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실제로 현장에 투입되려면 특정 분야에서 특정한 업무를 실질적으로 오랫동안 수행해보는 것이 중요한데 예전에도 진행해왔지만 기업체에서 나가서 강의 한번 해주고 책으로 공부하는 식의 제도 운영이 반복된다면 실무 위주의 경험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책적 성과를 내려면 정부 지원 사업으로 단기간이 아닌 장기 프로젝트를 줘서 풍부한 자금 지원을 통해 강하게 드라이브해야하는 것"이라며 "이것이 전체 흐름상으로 반도체 업계에서 일률화되고 대기업체에서도 현실화된다면 인력 육성과 기술 확보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훈 기자 cjh125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