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늘어 행복지수 높아졌다 봤더니
2012-05-11 10:00:00 2012-05-13 13:58:10
[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우리나라 국민소득(GNI)은 2만달러 이상으로 늘어났지만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한 '행복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행복이 꼭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Easterlin's paradox)'처럼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가 행복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12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행복지수의 세계적 중요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OECD가 지난해 3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행복지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는 26위를 기록 꼴찌 수준에 머물렀다.
 
행복지수는 고용ㆍ보건ㆍ교육ㆍ환경 등에 대한 포괄적 평가를 통해서 경제성장은 물론 국민의 행복정도를 지수화한 지표다.
 
국내총생산(GDP) 등 기존 경제지표가 생산에만 치중해 소득 분배나 여가 생활, 환경, 복지 등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교육'(2위)과 '안전'(11위) 등은 OECD 평균을 상회했지만, '일과 생활의 조화', '공동생활' 등의 부분에서는 각각 30위와 33위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발표한 유엔 세계행복보고서에도 한국의 행복점수는 10점 만점에 5점대 후반에 그쳤다. 조사대상 156개국 중에 56위를 차지해 아시아국 가운데 일본(44위)ㆍ대만(46위)은 물론이고 소득이 우리나라보다 낮은 말레이시아(51위)ㆍ태국(52위)보다도 뒤처졌다.
 
GDP, GNI가 증가함에 따라 과거보다 경제 수준은 높아져도 사람들이 느끼는 삶의 질이나 행복 수준은 낮은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체면과 경쟁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와 과다한 근로 시간 등을 꼽았다.
 
아울러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전통적 사고와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서구적 사고의 충돌도 원인으로 지적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복지와 성장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여야 한다"며 "이타주의적 삶의 태도나 건강유지와 같은 개인적 차원의 노력과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경 친화적 성장 및 기후변화 대응, 공동체정신 함양과 사회적 불신 지양, 실업의 위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행복지수를 증진할 수 있는 주안점"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