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최종보고→7월 오염수 방류'…카운트다운 돌입
대안 있는데도 일본, 해양 방류 강행…IAEA·시찰단 '들러리'
2023-06-03 06:00:00 2023-06-03 06:00:00
외교부가 지난 26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이 후쿠시마 제1원전을 현장 시찰한 사진을 공개했다. 시찰단은 지난 21일부터 26일까지 5박 6일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의 안전성을 점검했다. (사진=뉴시스/도쿄전력 제공)
 
[뉴스토마토 장윤서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본격적인 카운트다운에 돌입했습니다. 이달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최종 조사 보고서를 공개한 이후, 정부 시찰단이 곧이어 시찰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공식 발표 전이지만, IAEA·시찰단 모두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성을 강조하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내달 22일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계획입니다. 
 
IAEA 자료사진. (사진=뉴시스)
 
IAEA·시찰단, 최종결과…'방류 면죄부' 불가피
 
3일 정치권에 따르면 IAEA와 정부 시찰단이 이달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IAEA는 원자력의 안전성을 강조해 온 기구라는 점을 미뤄볼 때, 일본의 방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달 31일 발표한 IAEA의 오염수 관련 6번째 보고서를 통해 최종 보고서에 담길 내용을 유추해 볼 수 있었는데요. 보고서 결론은 일본의 오염수 분석 능력이 신뢰할 만하고, 표본에서도 유의미한 방사능 핵종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를 거쳐 오염수에서 방사성 핵종 대부분을 제거한 상태라고 주장했죠. 알프스를 거쳐도 통과되지 않는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은 기준치 아래로 희석해 방류하겠다고 했습니다. 일본의 이 같은 주장은 IAEA의 보고서 발표로 더욱 힘을 받게 됐습니다. 
 
이달 말 예정된 IAEA의 최종 보고서 발표 이후 시찰단은 지난달 21일부터 26일까지 방일한 시찰 결과를 발표합니다. 하지만 시찰단은 5박 6일의 현장방문에서 오염수 시료를 직접 채취하지 못하면서 검증 작업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에 대해 유국희 시찰단장은 “당연히 시료 채취 주체는 동경전력(도쿄전력)이 될 수밖에 없다”며 “시료의 대표성과 관련해서는 IAEA가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시찰단의 보고서 발표 시점을 두고도 비판이 제기됩니다. 시찰단은 방일한 지 약 한 달여 뒤쯤 결과를 발표하는 건데요. 이는 시찰단에 제기될 논란·질타를 덜어내기 위한 방책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IAEA가 오염수의 안전성을 담은 최종 보고서를 발표한 뒤 시찰단도 이 기조에 맞춘 보고서를 낸다면, 비판 여론이 덜할 수 있다는 셈법이 작용했다는 이야기입니다. 
 
후쿠시마 IAEA 자료사진. (사진=뉴시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명분 쌓는 일본
 
일본은 내달 22일 오염수를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류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도쿄전력은 방류를 위해 길이 1030m의 터널 굴착 작업과 오염수 방류 시설 공사를 이달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알프스로 정화한 오염수의 70%에 여전히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게다가 삼중수소는 알프스로 제거되지 않는데요. 일본은 삼중수소를 기준치의 40분의 1 이하로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겠다고 하지만, 삼중수소는 희석하더라도 체내에 투입되면 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높은 물질입니다. 또 방사성 물질인 세슘, 스트론튬 등은 방류될 경우 플랑크톤·어류·해조류 등을 통해 먹이사슬로 연결,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 물질들 역시 알프스로 걸러내지 못합니다. 
 
일본의 ‘무조건 방류’ 방침 역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16년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방안을 두고 △바다 방류 △대기 방류 △지하 매설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했습니다. 바다에 방류하면 34억엔(약 321억원) 정도의 비용이면 해결되지만 대기 방류와 매설은 각각 349억엔(약 3300억원), 2431억엔(약 2조3000억원)이 드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다양한 대안이 있었음에도 비용과 자국 이기주의로 해양 방류를 택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장윤서 기자 lan486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